1. 물리계층
- 0과 1의 나열을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전선으로 흘려보내고 아날로그 신호가 들어오면 0과 1의 나열로 해석하여 물리적으로 연결된 두 대의 컴퓨터거 0과 1의 나열을 주고 받을 수 있게하는 모듈
2. 데이터 계층
-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여러대의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필요한 모듈 Framing은 Data-link Layer에 속하는 작업 중하나(0000, 1111 로 데이터 분리)
3. 네트워크 계층
- 수 많은 네트워크들의 연결로 이루어진 인터넷에서 어딘가에 있는 목적지 컴퓨터로 데이터 전송을 위해 IP 주소를 이용해서 길을 찾고 다음 라우터에게 데이터를 넘겨주는 것 (라우팅, 포워드)
4. 전송 계층
- 포트 번호를 사용하여 도착지 컴퓨터의 최종 도착지인 프로세스 까지 데이터가 도달하게 하는 모듈
5. 세션 계층
- 데이터가 통신하기 위한 논리적인 연결을 하는 모듈
6. 표현 계층
- 코드 간이 번역을 담당하는 부분 예시.ASCII로 인코딩 된 파일을 EBCDIC로 인코딩 된 파일로 바꿔주는 것 / TEXT 인지, 그림인지 구분등을 해주는 모듈
7. 어플리케이션 계층
- Application Layer 프로토콜을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는 계층, 대표적으로 HTTP 가 있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024-02-06 EventPublisher / EventListener / 동기, 비동기 (0) | 2024.02.06 |
---|---|
TIL 2024-02-05 의존성 주입 (0) | 2024.02.05 |
TIL 2024-02-01 통합 테스트 HttpRequest No thread-bound request found 오류 (0) | 2024.02.01 |
TIL 2024-01-31 로깅에 대한 고민을하다 알게된 글~~ (0) | 2024.02.01 |
TIL 2024-01-30 도메인 간의 서비스 참조, 레포지토리 참조 (0) | 2024.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