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S 2024를 다녀왔다.
이번 WIS 2024 에서 집중해서 보고자 했던 것은 업계 동향이다.
대기업 부터 각종 솔루션 회사들이 AI 쪽으로 곤두서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듯 했다.
KT 는 IoT, 카카오는 소프트웨어, LG도 IoT 위주긴 했으나 Gram에서 온 디바이스 AI를 적용했다는 것, 그리고 미래 자율주행 컨셉카를 보여줬는데, 이게 정말... 멋있었다... 컨셉카이지만 나오기만 하면 꼭 타고 싶을 듯

대기업 전시작 중 개인적으로는 KT에서 보여준 API Gateway 가 인상적이었다.

이런 행동 감지 기술들이 SK 뿐만 아니라 다른 기업에서도 이번에 많이 보였었는데, CCTV 등에 적용하고 알람 가게하면 CCTV 근무 요원들도 빠르게 상황파악 해줄 거 같다고 생각했다, 쓰러지거나 그러면,, 바로 신고해주고, CCTV 말고도 적용할 수 있는 분야가 있을까?

물류 쪽에서는 적재 상품들이 어느 라인에 적재 됐는지 정보 저장하고 그걸 통해서 추가적인 업무 수행을 할 수 있게 하는 거 같은데 아직 두고 봐야할 듯.. 나는 Geek+ 에서 잘 해결할 수 있는 주제라고 보는 중
카카오 브레인에서 혈당 체크해주는 서비스를 보여주셨는데, 신체에 부착하는 게 필요함, 이게 얼마인지가 관건 일 듯 5일인가 10일마다 한번 씩 바꿔줘야한다고 함, 근데 기존 당뇨병 환자들이 피 뽑는 거보다는 훨씬 나을 거 같음, 부착해서 하는 건 다른 거랑 다르게 피를 안뽑는다더라
그리고 솔루션 기업들 중 되게 관심있게 봤던 것, AI 기술은 아니지만 세일즈맵으로, 사원관리 솔루션이 있었는데 정말!! 푹 빠져서 봤다

이미 많은 회사에서 사용 중이라고 하는데, 노션 등으로 일정관리 하는 것보다 이 솔루션을 사용했을 때의 장점이 너무 좋아보였음.
사원마다 권한설정, 어떤 일을 하는지, 어떤 계약을 성사했는지 등으로 다채롭게 사원관리를 할 수 있었다.
앞에서서 설명만 계속 듣고 갔는데, 오오... 진짜 좋아보였다.
어쨌든 내년 WIS도 무조건 보러갈 것!! 정말 좋은 인사이트 얻는 시간이었다.

WIS 2024를 다녀왔다.
이번 WIS 2024 에서 집중해서 보고자 했던 것은 업계 동향이다.
대기업 부터 각종 솔루션 회사들이 AI 쪽으로 곤두서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듯 했다.
KT 는 IoT, 카카오는 소프트웨어, LG도 IoT 위주긴 했으나 Gram에서 온 디바이스 AI를 적용했다는 것, 그리고 미래 자율주행 컨셉카를 보여줬는데, 이게 정말... 멋있었다... 컨셉카이지만 나오기만 하면 꼭 타고 싶을 듯

대기업 전시작 중 개인적으로는 KT에서 보여준 API Gateway 가 인상적이었다.

이런 행동 감지 기술들이 SK 뿐만 아니라 다른 기업에서도 이번에 많이 보였었는데, CCTV 등에 적용하고 알람 가게하면 CCTV 근무 요원들도 빠르게 상황파악 해줄 거 같다고 생각했다, 쓰러지거나 그러면,, 바로 신고해주고, CCTV 말고도 적용할 수 있는 분야가 있을까?

물류 쪽에서는 적재 상품들이 어느 라인에 적재 됐는지 정보 저장하고 그걸 통해서 추가적인 업무 수행을 할 수 있게 하는 거 같은데 아직 두고 봐야할 듯.. 나는 Geek+ 에서 잘 해결할 수 있는 주제라고 보는 중
카카오 브레인에서 혈당 체크해주는 서비스를 보여주셨는데, 신체에 부착하는 게 필요함, 이게 얼마인지가 관건 일 듯 5일인가 10일마다 한번 씩 바꿔줘야한다고 함, 근데 기존 당뇨병 환자들이 피 뽑는 거보다는 훨씬 나을 거 같음, 부착해서 하는 건 다른 거랑 다르게 피를 안뽑는다더라
그리고 솔루션 기업들 중 되게 관심있게 봤던 것, AI 기술은 아니지만 세일즈맵으로, 사원관리 솔루션이 있었는데 정말!! 푹 빠져서 봤다

이미 많은 회사에서 사용 중이라고 하는데, 노션 등으로 일정관리 하는 것보다 이 솔루션을 사용했을 때의 장점이 너무 좋아보였음.
사원마다 권한설정, 어떤 일을 하는지, 어떤 계약을 성사했는지 등으로 다채롭게 사원관리를 할 수 있었다.
앞에서서 설명만 계속 듣고 갔는데, 오오... 진짜 좋아보였다.
어쨌든 내년 WIS도 무조건 보러갈 것!! 정말 좋은 인사이트 얻는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