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2024-02-13 네트워크 기초

2024. 2. 13. 21:51TIL
목차
  1. 처리량(throughput)
  2. 지연 시간

네트워크란 노드(node)와 링크(link)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을 의미한다.

여기서 노드란 서버, 라우터,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를 의미하고 링크는 유선 또는 무선을 의미한다.

처리량과 지연 시간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는 ‘좋은’ 네트워크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좋은 네트워크란 많은 처리량을 처리할 수 있으며 지연 시간이 짧고 장애 빈도가 적으며 좋은 보안을 갖춘 네트워크를 말한다.

처리량(throughput)

링크 내에서 성공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의 양을 말하며 보통 얼만큼의 트래픽을 처리했는지를 나타낸다.

‘많은 트래픽을 처리한다 = 많은 처리량을 가진다’ 라는 의미다.

단위로는 bps를 쓴다. 초당 전송 또는 수신되는 비트 수라는 의미다.

처리량은 사용자들이 많이 접속할 때마다 커지는 트래픽, 네트워크 장치 간의 대역폭, 네트워크 중간에 발생하는 에러, 장치의 하드웨어 스펙에 영향을 받는다.

트래픽은 특정 시점에 링크 내에 ‘흐르는’ 데이터의 양을 말한다. 예를 들어 서버에 저장된 파일(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을 클라이언트가 다운로드할 때 발생되는 데이터의 누적량을 뜻한다. 트래픽과 처리량을 헷갈릴 수 있는데 다음처럼 이해하면 된다.

  • 트래픽이 많아졌다 = 흐르는 데이터가 많아졌다.
  • 처리량이 많아졌다 = 처리되는 트래픽이 많아졌다.

대역폭 주어진 시간 동안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흐를 수 있는 최대 비트 수

지연 시간

지연 시간(latency)이란 요청이 처리되는 시간을 말하며 어떤 메시지가 두 장치 사이를 왕복하는 데 걸린 시간을 말한다.

지연 시간은 매체 타입(무선, 유선), 패킷 크기, 라우터의 패킷 처리 시간에 영향을 받는다.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2023-02-23 TCP / IP 4계층 모델  (0) 2024.02.23
TIL 2024-02-15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병목 현상, 네트워크 분류  (0) 2024.02.15
TIL 2024-02-11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  (0) 2024.02.12
TIL 2024-02-10 CMS란? (부제. 사이드 프로젝트 정하기 )  (0) 2024.02.10
TIL 2024-02-08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0) 2024.02.08
  1. 처리량(throughput)
  2. 지연 시간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IL 2023-02-23 TCP / IP 4계층 모델
  • TIL 2024-02-15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병목 현상, 네트워크 분류
  • TIL 2024-02-11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
  • TIL 2024-02-10 CMS란? (부제. 사이드 프로젝트 정하기 )
wonow_
wonow_
꾸준히 성장하는 개발자 WONOW 입니다. 🤗
wonow_
wonow_
wonow_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 Language
      • JAVA
    • TIL
    • 코딩테스트
      • 프로그래머스
      • 백준
    • 프로젝트
      • JAVA
      • Spring
    • 기타
    • ERROR
      • Spring
    • CS
      • 알고리즘
      • DB
      • Kafka
    • 잡담
    • 활동
      • 척척박사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문자열 돌리기
  • 프로그래머스
  • 티스토리 꾸미기
  • 티스토리챌린지
  • 공부열심히하자
  • 오블완
  • 문자열 붙여서 출력하기
  • 홀짝 구분하기
  • 나는바봉가봉가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v4.2.1
wonow_
TIL 2024-02-13 네트워크 기초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