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꾸준히 성장하는 개발자 WONOW 입니다. 🤗
· TIL
1. 물리계층 0과 1의 나열을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전선으로 흘려보내고 아날로그 신호가 들어오면 0과 1의 나열로 해석하여 물리적으로 연결된 두 대의 컴퓨터거 0과 1의 나열을 주고 받을 수 있게하는 모듈 2. 데이터 계층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여러대의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필요한 모듈 Framing은 Data-link Layer에 속하는 작업 중하나(0000, 1111 로 데이터 분리) 3. 네트워크 계층 수 많은 네트워크들의 연결로 이루어진 인터넷에서 어딘가에 있는 목적지 컴퓨터로 데이터 전송을 위해 IP 주소를 이용해서 길을 찾고 다음 라우터에게 데이터를 넘겨주는 것 (라우팅, 포워드) 4. 전송 계층 포트 번호를 사용하여 도착지 컴퓨터의 최종 도착지인 프로세스 까지 데이터가 도달..
· TIL
문제정의 사실 수집 통합 테스트 돌릴 시 No thread-bound request found 오류 발생 원인 추론 로깅 AOP 28번째 줄 HttpRequest 받아오는 부분에서 문제가 난 것으로 추정 조치 방안 검토 ObjectProvider getObject() 하는 시점까지 RequestScope Bean 생성을 지연할 수 있다. 그 후 HTTP 요청이 일어나서 Logger 가 필요하게 되면 getObject() 를 통해서 빈이 생성 처리 된다. 통합 테스트 환경에선 HTTP 요청이 일어나지 않으니 이 방법이 아님 실질적인 Request 가 없는 곳이거나 Static 메서드에 HttpRequest를 받았을 때 문제가 생긴다. HttpRequest Logging AOP 분리 현재 @SwapLog는 ..
· TIL
그냥 두서없이 메모하면서 쓴 글이라, 읽기 힘드실 겁니다... @Around("@annotation(piglin.swapswap.global.annotation.SwapLog)") public Object swapLog(ProceedingJoinPoint joinPoint) throws Throwable { HttpServletRequest req = ((ServletRequestAttributes) RequestContextHolder.currentRequestAttributes()).getRequest(); log.info("start transaction"); log.info("\nMethod - {} | Method Argument - {}\nIP - {} | Browser - {}\n▼ ▼ ▼ ..
· TIL
가장 큰 이유 레포지토리를 그냥 쓴다는 것은 JPA를 쓰는 것 JPA의 추상화 수준만 가져간다 → DB딴을 직접 연결한다는 것 개발 난이도 낮아지고 편함 → 비즈니스 룰을 가져갈 수 없음 A - B 의존을 별로 안 함 B - C 를 의존 소규모에서는 레포지토리 딴 넣는게 편할 것이다. 대규모 일때 문제가 됨 상품 → 결제 도메인이 있다면 상품이 결제 완료로 바꾸고 싶어했을 때 상품 도메인에서 바로 결제완료 시켜버린다면 결제 도메인에서 작성 한 비즈니스 코드를 활용하지 않는게 되어버림. 내가 모든 도메인의 비즈니스 로직을 파악하고 있어서 이런 고민이 생겼던 것 모든 아키텍처는 신입을 기준으로 → 신입이 처음 개발할 때 우리 회자 비즈니스 로직을 무시하고 레포지토리에 바로 접근하려고 하면? 😡 요령을 피우면..
· TIL
@Around("@annotation(piglin.swapswap.global.annotation.SwapLog)") public Object swapLog(ProceedingJoinPoint joinPoint) throws Throwable { HttpServletRequest req = ((ServletRequestAttributes) RequestContextHolder.currentRequestAttributes()).getRequest(); log.info("start transaction"); log.info("\nMethod - {} | Method Argument - {}\nIP - {} | Browser - {}\n▼ ▼ ▼ ▼ ▼ ▼ ▼ ▼ ▼ Cookie ▼ ▼ ▼ ▼ ▼ ▼ ▼ ▼ ..
· TIL
Logback? Logback 은 Log4J(SL4FJ 의 구현체) 를 기반으로 재탄생한 SL4FJ 의 구현체로 스프링 부트 기본으로 들어있는 라이브러리이다. spring-boot-starter-web에 spring-boot-starter-logging 으로 들어있다. Spring Boot 는 기본적으로 CommonsLogging을 쓴다. Jul to SLF4J Log4J to SLF4J SLF4J -> Logback CommonsLogging을 쓰나 결국 Logback 으로 출력한다. Spring Boot에서는 우리 로깅 진~짜 잘 돼 있으니까 구현체를 바꾸거나 할 일이 없을 것이다 하고 얘기한다. Spring 프레임워크 5.0부터 Spring에는 spring-jcl 모듈에 구현된 CommonsLogg..
wonow_
wonow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