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base 이제 데이터를 서버에 보내고 가져오는 것을 배운다. Firebase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비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다 데이터 베이스 이해하기 데이터 베이스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여러 사람들이 관리하는 데이터의 모음이다. 왜 저장을 할까? 잘 찾으려고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SQL) 관계형은 엑셀같이 정교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표 형식으로 저장돼 있는데 정해진 표 안에 들어가지 못하는 값은 저장하지 못한다. 정리된 정보를 다룰 때 사용한다. 주 사용처는 은행, 대기업 비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NoSQL) (No는 Not only의 약자다. 그래도 편의상 노에스큐엘 이라고 부른다.) 복잡하거나 유연한 정보를 다룰 때 사용한다. 표 형식이 아니기 때문에 자유롭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주 사용처는..
전체 글
꾸준히 성장하는 개발자 WONOW 입니다. 🤗Fetch 어떤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는 것 Fetch() 함수를 지원하기 전엔 특정 라이브러리에서 API를 호출 했다. 왜? 전에는 HTTP에서 요청을 받고 응답을 하는게 복잡한 과정이었다. Fetch() 함수가 나오면서 대부분의 문제가 해결 됐다. 클라이언트 사용자는 서버에다가 주거나 받는 걸 항상 한다. 서버->클라이언트: JSON // 딕셔너리랑 비슷하게 생김 클라이언트->서버: GET 요청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158260 이라고 하면 movie.daum.net 이건 서버의 위치 /moviedb/main 이건 서버 창구의 이름 ?movieId=158260 이건 창구에 가져가는 번호(데이터)다. GET 호출 통상적으로 데이터 조회(Read)를..
Js에 대해서 배웠다. Js는 웹페이지에 움직임을 줄 때 사용한다. 박스가 나왔다가 사라졌다거나 서버랑 통신을 하는데 사용하거나 Js는 범용성이 넓다. 서버를 만드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Js에 들어가기 전 변수, 자료형, 함수, 조건문, 반복문 에 대해서 알아두면 Js를 잘 이용할 수 있다 변수 let a = 'hello' console.log (a) console에 hello라는 값이 출력된다. let // 선언 a // 를 변수로 지정 할 거다 = // 변수에 들어가는 값은 'hello' // 작은 따옴표 값을 선언 및 초기화 console // 콘솔 . // 의 log // 로그 작성 (a) // a라는 값 문자열 변수 결합 let a = 'hello' let b = 'nice to mee..
1. HTML 및 CSS, 부트스트랩 2. Js 및 JQuery 3. 서버 및 Fetch 4. Firebase 적용 5. Github 배포 및 파이썬 맛보기 1주차 HTML과 CSS에 대해서 짧게 배우고 넘어갔다. 이전에 UDEMY에서 웹개발 기초 강의를 본 적있어서 강의 내용은 어렵지 않았다. 이후 부트스트랩을 알려주셨는데 짜임새 있는 웹을 만들기 전, 부트스트랩 요소들을 잘 활용하여 이용할 수 있을 거 같았다. html-뼈대 css-꾸미기 js-움직이게 해주기 클라이언트가 웹에 접속을하면 서버는 이 세가지 정보를 클라이언트한테 보내준다 input으로 text 및 password 를 넣어줘서 로그인 페이지를 만들었다 다음은 CSS인데 CSS를 넣어줄 땐 class라는 태그를 사용한다. 그 후 head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