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 TIL
Session과 JWT 너네 둘이 궁금하다.Session과 JWT를 배우며, 둘의 차이점과 어떤 방식이 더 좋을까? 라는 생각으로 접근을 했다. 우선 결론부터 말하자면 둘 다 장단점이 있어서 뭐가 더 좋다 라고 말하기 힘든 것이다. Session정의서버에서 일정시간 동안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세션 ID를 제공하고, 이 ID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한다.저장위치서버에 저장 된다. 클라이언트는 보통 세션 ID를 쿠키에 저장해서 서버와 통신할 때 사용한다. JWT정의JWT(Jason Web Token)  JSON 포맷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속성을 저장하는 Claim 기반의 Web Token 이다.즉 토큰의 한 종류이다.저장위치클라이언트(쿠키,로컬 스토리지, 세션 스토..
· TIL
HttpServlet HttpServlet은 Java의 Servlet API 에서 제공하는 클래스다.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기본적인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HttpServletRequest 클라이언트의 HTTP의 요청을 나타내는 인터페이스다. 서버는 HttpServletRequest를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쿠키를 읽을 수 있다. HttpServletResponse 클라이언트에게 HTTP 응답을 보내는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다 setStatus() 메서드를 사용하여 HTTP 응답의 상태코드를 설정할 수 있다. ex) 200, 300.. 등등 쿠키등을 클라이언트에게 보낼 수 있다. HttpServlet로 서버와 클라이언트끼리 데이터를 소통하는 방식은 Http의 헤더와 바디로..
· TIL
오늘은 진행했던 개인 프로젝트를 리팩토링 하는 시간을 가졌다. 근데... 뭔가... 코드가.. 내 마음대로 안된다.. nullable = false 설정 했는데도 빈 값이 들어간다 뭐지?? 근데 Null은 아니고 아예 비어있다. Null이면 Null이라고 표시가 되어있어야 한다. Null이 아닌 빈 값이 들어가는 거다!! 이유는? Null이 아닌 빈값이 들어가는 이유 Null 이랑 빈 객체는 다른 거다. nullable = false는 JPA에서 엔티티의 특정 필드가 Null이 아니어야 함을 지정하는 제약 조건이다. 하지만 이는 필드가 Null을 가질 수 없다는 것만 의미할 뿐 빈 문자열, 공백 문자열이 DB에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지는 않는다. String 객체가 초기화 될 때 Null이 아니라 빈 문자..
· TIL
영속성객체의 생명이나 공간을 자유롭게 유지하고 이동할 수 있는 객체의 성질 Entity 객체들은 영속성 컨텍스트에 의해 관리가 된다. Entity Manager ( = EM )Entity Manager Factory ( = EMF )글쓰는데 편의를 위해 위와 같이 줄여서 부르겠다. EM은 Entity를 저장, 조회, 수정, 삭제 할 수 있다. EM은 EMF를 통해서 생성이 가능하다. EMF는 기본적으로 DB 하나에 하나만 생성되고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동안 사용된다. EMF는 persistence.xml을 읽고 이 정보를 토대로 만들어진다. 트랜잭션DB 데이터들의 무결성과 정합성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논리적 개념 가장 큰 특징은 여러개의 SQL이 하나의 트랜잭션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다. Commi..
· TIL
Spring의 제어의 역전을 배우면 빠질 수 없는게 Bean이다. 어제 프로젝트를 만들며 DI를 사용했는데 DI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객체 생성이 우선 되어야 했다. 어 근데 왜 됐지? 객체 생성을 먼저 안 해줬는데 내 프로젝트는 왜 돌아갔을까? Spring 프레임워크가 필요한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대신 해준다. 빈 (Bean): Spring이 관리하는 객체(POJO) Spring IoC 컨테이너: 'Bean'을 모아둔 컨테이너 Spring에서 Bean으로 등록하는 방법은 '@Component',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등의 어노테이션을 클래스 위에 붙여서 등록한다. 그러면 스프링이 실행 될 때, 스프링은 @ComponentScan에 설정해 준 ..
· TIL
GitHub - wonowonow/anonymousPosts Contribute to wonowonow/anonymousPost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개인프로젝트를 완성했다. 익명 게시판 API를 구현하는 프로젝트 과제 였는데, 스프링 강의와 자바 공부를 병행하며 만들었다. 자바의 정석 예외처리 챕터를 공부하면서 만든 과제라서 예외 처리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공부가 잘 되었다. 아쉬운 점은 KPT에서 적기로 하겠다. 컨트롤러 부분에서 ResponseEntity를 사용헀는데 이 부분은 튜터님에게 도움을 받아서 만든 것이라서 완전히 이해를 못했다. 그래서 공부를 더 하고 나중에 TIL에 쓰고 싶다. 3 Layer Architec..
wonow_
'TIL' 카테고리의 글 목록 (15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