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티티의 개념엔티티는 사람, 장소, 물건, 사건, 개념 등 여러 개의 속성을 지닌 명사를 의미한다.예를 들어 회원이라는 엔티티가 있다고 했을 때, 회원은 이름, 아이디, 주소, 전화번호등의 속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이보다 많은 속성이 있지만, 서비스의 요구사항마다 달라지는 거니까 .. ㅎㅎ예를 들어 주소라는 속성이 서비스의 요구 사항과 무관한 속성이라면 주소라는 속성은 없애는 게 맞다. 약한 엔티티와 강한 엔티티엔티티는 약한 엔티티와 강한 엔티티라는 개념이 있다.예를 들어 A 와 B가 있을 때 A가 혼자서는 존재하지 못하고 B의 존재 여부에 따라 종속적이라면 A는 약한 엔티티고 B는 강한 엔티티가 된다.예를 들어 방은 건물 안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방은 약한 엔티티 건물은 강한 엔티티라고 할 수 있다.
CS
기본개념데이터베이스는 일정한 규칙, 혹은 규약을 통해 구조화되어 저장되는 데이터의 모음이다.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제어, 관리하는 통합 시스템을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라고 하며, 데이터베이스 안에 있는 데이터들은 특정 DBMS마다 정의된 쿼리 언어(query language)를 통해 삽입, 삭제, 수정, 조회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실시간 접근과 동시 공유가 가능하다. 앞의 그림처럼 데이터베이스 위에 DBMS가 있고 그 위에 응용 프로그램이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예를 들어 MySQL 이라는 DBMS가 있고 그 위에 응용 프로그램에 속하는 Node.js 나 php 에서 해당 데이터베이스 안에 있는 데이터를 끄집어내 ..
구간 합 구간 합은 합 배열을 이용하여 시간 복잡도를 더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특수한 목적의 알고리즘이다. 코딩 테스트에서 사용 빈도가 높아서 꼭 알아둬야 한다. 구간 합의 핵심 이론 구간 합 알고리즘을 활용하려면 먼저 합 배열을 구해야 한다. 배열 A가 있을 때 합 배열 S는 다음과 같이 정의 한다. 합 배열 S 정의 S[i] = A[0] + A[1] + A[2] + … + A[i*1] + A[i] // A[0] 부터 A[i] 까지의 합 합 배열은 기존의 배열을 전처리한 배열이라 생각하면 된다. 이렇게 합 배열을 미리 구해 놓으면 (for문 돌려서 미리 구해놓는다는 뜻임) 기존 배열의 일정 범위의 합(구간 합)을 구하는 시간 복잡도가 O(N)에서 O(1)로 감소한다. A[i]부터 A[j] 까지의 배열 ..
배열과 리스트 기본 자료구조인 배열과 리스트는 비슷하지만 다른 점이 많다. 두 자료구조의 특징을 잘 이해하고 문제가 요구하는 조건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배열과 리스트의 핵심 이론 배열 배열은 메모리의 연속 공간에 값이 채워져 있는 형태의 자료구조다. 배열의 값은 인덱스를 통해 참조할 수 있으며, 선언한 자료형의 값만 저장할 수 있다. 인덱스를 사용하여 값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 새로운 값을 삽입하거나 특정 인덱스에 있는 값을 삭제하기 어렵다. 값을 삽입하거나 삭제하려면 해당 인덱스 주변에 있는 값을 이동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배열의 크기는 선언할 때 지정할 수 있으며, 한 번 선언하면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없다. 구조가 간단하므로 코딩 테스트에서 많이 사용한다. 리스트 리스트는 ..
SHOW TABLES Tables를 보여준다 SELECT COLUMN FROM TABLE TABLE 라는 테이블 안의 COLUMN 이라는 컬럼을 보여준다 *을 쓰면 모든 컬럼 WHERE 조건을 걸고 그에 해당하는 값을 보여준다 컬럼 조회 Select * from table where column = ABC LIKE (문자열 안에 해당 단어가 있으면 조회, %로 표현한다.) Select * from table where column like '%ABC' // 어떤 문자 뒤에 ABC로 끝나는 컬럼 조회 Select * from table where column like 'ABC%' // ABC로 시작하는 컬럼 조회 Select * from table where column like '%ABC%' // col..